토종벌 관련 이전 자료 모음/토종벌 관리

개량벌통 분봉 싯점

금송(천안) 2017. 2. 9. 10:38

위 글에 댓글을 주신 오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저는 일년에 세차레 분봉을 시키기에 언제 분봉시키느냐가 매우 중요한 인자중에 하나입니다.
기온도 보아야 하고. 도봉이 없는 시기도 고려해야하고. 월동전까지는 최하 4매벌로 되는 조건을 맞추어야. 다음해에 조기분봉시켜 선순환 시키는 구조도 생각해야 힙니다.

제 의견 경험담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양봉의 경우 하루에 천개에서 이천개정도의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토봉은 직접 세어 보진 못하였지만 양봉보다는 많이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사각으로 보면 봉판이 6칸 이상이 된 경우는 한두번 정도밖에 기억이 없습니다.
최대 5칸 정도의 봉판입니다.
보통 4칸 정도의 봉판입니다.
그것도 최대유밀기의 신왕의 경우입니다.

규격 1호이면 밀양 소비 1매와 거의 비슷합니다.
아래의 밀양소초의 벌방수는 약 팔천이백에서 팔천삼백개입니다.

대입하면. 봉판의 최대치는 삼만이천개입니다.
산란후 부화기간이 21 일이므로. 하루 최대산란갯수는 약 천오백개 정도됩니다.

일벌의 최대유밀기의 수명은 40여일이 되므로. 한통에 들어 있는 벌의 숫자는 이론상 최대치는 약 육만마리정도 됩니다.만. 최대 유밀기가 40일이상 되지 않고. 밀양 소초로 벌이 가득 양면붙어 있는 경우 10매 기준일때 사만마리입니다.

사각에서도. 10칸이라고 해도 4칸 정도는 봉판이고 나머지는 꿀장이거나 빈벌집이거나 입니다.

그렇다면 봉판 삼만개와 일벌수 4만 마리가 되는 싯점을 찾아야 하는데.
봉판 삼만개는 밀양 소비기준 네매입니다만, 이것은 귀산란으로 계산하였을때이고. 소비싱단에 꿀이 보통 있으므로.
소비하나에 평균 2/3 가 봉판으로 계산하면 최대 6매 소비 정도에 산란을 하게 됩니다.

벌수로는 최대 사만마리이면 소비수로는 10매가득 붙었을때가 최대치입니다.

그런데 계절적인 요인과. 유밀되는 시기. 날씨 기온. 외역벌들의 수밀활동시 망실 등을 보고.
실지 경험은 2매로 분봉시켰을때 4매(봉판과 꿀장포함)로 증가하는데 시간은 약 25일 걸리지만. 4매에서 7매로 늘어나는 시간은 보름정도 걸립니다.
이때부터는 태어나는 애들도 있기에 그렇습니다.

이 시기를 산란 탄력 받았다고 합니다.
8매 이상도 늘어나긴 하지만, 봉판은 어디에 있던 위에서 언급한 삼만개 내외가 최대치이므로. 약 네매 이외는 꿀장이거나 화분장이거나 빈집입니다.

그러다보면 8매에서 9매이상은 다시 늘어나기가 어렵고. 늘어나는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소비수로는 늘어날수가 있겠지요. ㅡ 꿀장으로 ㅡ

그래서 이론상 7매에서 8 매 정도가 이상적이지만.
여왕벌의 산란능력도 차이가 나고. 유밀기등 계절적이 차이, 분봉흐 도봉. 교미성공율 차이 등을 감안하여. 보통7매 되었을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으론 산란후 봉판이 두번째 돌아갈때를 기준으로 하기도 합니다.
구왕은 분봉후 약 35일에서 40일, 신왕은 약 40일에서 50일 정도면. 위 내용과도 거의 엇비슷하게 맞아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