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스런 봉이가 얼마나 보시고 싶으시겠습니까?
하지만 보고 싶어도 참으셔야 합니다.
바늘을 준비하셔서 허벅지 쿡쿡 찔러서라도,,,
오늘 내일 비가 내리고 나면, 기온이 많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벌은 5도씨 이하로 내려가면 개별 행동은 어렵습니다.
건드려 놓으면 움직이게 되어 있고, 봉구가 흐트러지게 됩니다.
다시 봉구를 형성하려면, 한참 시간이 걸리고, 기온이 급강하면, 봉구를 형성하기 전에 얼어죽게 됩니다.
그런 예로, 먹이도 충분하고,
월동을 나지 못한 벌들을 관찰해 보면,
반대편이니 위쪽에 먹이도 많이 있으면서. 소비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군이 있습니다.
흐트러지는 경우입니다.
반만에, 수백마리만 있어도 월동을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건들면, 자연스레, 먹이의 소비가 많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쉬어야 할 시간에 움직이다 보니, 노화가 빨라집니다.
이른봄에 여왕벌이 알낳고, 일벌들이 온도를 오려 새끼를 기르고,
온도를 올리고 물을 길어와 화분을 반죽하여 먹이고 해야 할 노력을 미리 소진하여 버리는 결과가 됩니다.
괴본온은 보온을 하지 않은 것보다 더 치명적입니다.
일반적인 포장은 아무리 해도 21도 이상이 올라가지 않을 것입니다.
오히려 서서히 온도를 올리고 밤에도 서서히 온도가 내려갈 것입니다.
벌통에 해각 직접적으로 닿아 온도를 올리는 것보다----
역설적으로, 여름에도, 사각벌통에 사료푸대를 씌워 주는 것이나, 개량벌통에 보온개포를 하나 더 대주는 원리와 비슷할 것입니다.
특히 비닐 같은 겉포장은 급작스런 온도 상승과, 하강이 이루어지고 습기 배출이 안됩니다.
잘 아시겠지만, 비닐은 해만 비추면 비닐안의 온도는 30도 이상으로 올라갑니다.
그리고 몇년 동안 겨울 월동을 내재 못한 분들을 보면,
겨울에 잦은 내검을 하신 분들이 많으십니다.
월동전 벌도 젊은 벌도 많고, 상당한 강군이고 먹이도 많았는데,,,
확인해 보면 12월, 1월에 잦은 내검을 하셨더군요.
눈이 많이 와 소문앞이 막히면 어쩌나,
벌통안의 부스러기등 찌꺼기가 벌통 안 소문앞에 쌓여 숨을 못쉬면 어쩌나 하시지만.
그리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막혀 죽는 것은 단한번도 못보았습니다.
눈이 아무리 많이 와서 벌통앞에 쌓여도 (뚜껑이 날아가 벌통앞에 눈이 쌓여도) 벌통 안에서 나오는 열기로 소문 주면에는 눈이 녹아 있습니다.
대신 쥐 피해나 강풍에 넘어진 벌통이 있나 등은 가끔 확인해 주시구요.
보시고 싶어도 내년 2월 중순경까지는 참아 주세요~~~~~
'토종벌 관련 이전 자료 모음 > 토종벌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도 봉판이 있네요. (0) | 2015.11.23 |
---|---|
벌통 변경의 기본 원리 (0) | 2015.11.17 |
인공 수정에 대하여 (0) | 2015.11.07 |
월동포장에 대하여 (0) | 2015.11.01 |
채밀 시간대에 대하여~~ (0) | 201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