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터/좋은 글 모음

[스크랩] 24절기는 양력이다

금송(천안) 2014. 8. 19. 06:42

24절기는 양력이다

 

태양 공전주기 24등분해, 음력보다 양력과 거의 일치, 한식-단오등은 24절기 포함안돼

 

1. 11월7일은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입동)이다. 오는 22일은 땅이 얼고 차차 눈이 내린다는 소설(소설)이고, 12월21일은 낮이 가장 짧은 동지(동지)다.
1년에는 이처럼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절기(절기)가 24개 있다. 이 절기들은 양력으로는 매년 같은 날, 혹은 하루 정도 차이를 두고 돌아온다. 반면에 음력은 해마다 다르다. 그걸 보면 절기가 양력에서 온것 같은데, 우리 선조들이 절기를 챙기고 그에 맞춰 농사를 지은 것은 양력이 도입되기 훨씬 전 부터였다. 과연 24절기는 음력인가, 양력인가?
24절기가 처음 고안된 것은 고대 중국 주나라 때였다. 음력(엄격히는 태음태양력)은 날을 세는 데는 문제가 없었으나,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일어나는 기후의 변화는 반영할 수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천문학 지식을 동원, 지구의 태양 공전 주기를 24등분했다. 그다음 지구가 태양을 15도 만큼 돌때 마다 황하유역의 기후를 나타내는 용어를 하나씩
붙여 24개의 절기를 완성했다.
절기는 이처럼 음력을 쓰는 농경사회에서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한 탓에 결과적으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하게 된 것이다. 실제로 달력을 놓고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온다.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부분 15일이며, 경우에 따라 14일이나 16일이 되기도 한다. 이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어서 태양을 15도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 똑같지 않기 때문이다.
24절기의 이름은 음력 정월에 드는 입춘을 시작으로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등이다. 한식, 단오, 초복, 중복, 말복, 추석 등은 24절기에 들어가지 않는다.

 

2. 절기(이십사절기, 24절기, 二十四節氣)는 한국·중국 등지에서 태양년(太陽年)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24등분하여 계절을 자세히 나눈 것으로 절후(節候)·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움직인 각도로,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표와 같이 15°간격으로 24절기를 구분한다.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략 15일 간격이며, 양력 날짜는 거의 같지만 음력으로는 조금씩 달라지므로 가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추고 있다. 24절기는 절(節)과 중(中)으로 분류되는데, 입춘 등 홀수번째 절기는 절, 우수 등 짝수번째 절기는 중이 된다. 사계절은 입춘·입하·입추·입동 등 4립(四立)의 날에서 시작된다.[

 

 

 3. 단오, 추석, 초복, 중복, 말복은 절기가 아닙니다.

 

4. 우리 조상들은 24절기에 따라 농사를 지었다고 합니다.

농사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씨를 뿌리고 추수할 가장 좋은 시기를 필요로 했기때문에 24절기로 나누었던 것 같습니다. 

 

 

절기(節氣)는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 것.

옛 중국사람들은 천문학 지식을 동원, 지구의 태양 공전 주기, 즉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동쪽으로 15。간격으로 24개로 나누었다. 그리고 기후를 나타내는 용어를 하나씩 붙였는데, 이것이 절기(節氣)이다.

즉, 24절기는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한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천구상에서 태양의 위치가 황도 0。, 15。,…
300。되는 지점을 통과하는 순간을 춘분, 청명, …대한으로 한 것. 그런데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후를 잘 나타내도록 정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후와는 약간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처럼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정한 것이기 때문에 절기들은 양력으로는 매년 같은 날, 간혹 하루 정도 차이를 두고 돌아온다.

4계절은 입춘·입하·입추·입동의 4절기(四立의 날)로 시작되는데 각 계절에 따른 절기는 다음과 같다.


■ 봄

  • 입춘(立春, 2월4∼5일)
  • 우수(雨水, 2월19∼20일)
  • 경칩(驚蟄, 3월5∼6일)
  • 춘분(春分, 3월21∼22)
  • 청명(淸明, 4월5∼6)
  • 곡우(穀雨, 4월20∼21)

    ■ 여름

  • 입하(立夏, 5월6∼7)
  • 소만(小滿, 5월21∼22)
  • 망종(芒種, 6월6∼7)
  • 하지(夏至, 6월21∼22)
  • 소서(小暑, 7월7∼8)
  • 대서(大暑, 7월23∼24)

    ■ 가을

  • 입추(立秋, 8월8∼9)
  • 처서(處暑, 8월23∼24)
  • 백로(白露, 9월8∼9)
  • 추분(秋分, 9월23∼24)
  • 한로(寒露, 10월8∼9)
  • 상강(霜降, 10월23∼24)

    ■ 겨울

  • 입동(立冬, 11월7∼8)
  • 소설(小雪, 11월22∼23)
  • 대설(大雪, 12월7∼8)
  • 동지(冬至, 12월22∼23)
  • 소한(小寒, 1월6∼7)
  • 대한(大寒, 1월20∼21)
  •  

     

    2월

    입춘
    입춘 (入春)/양력 2월 4일/봄의 시작

     

     

    우수
    우수 (雨水)/양력 2월 19일/봄비가 내리고 싹이 돋아남

     

     

     

    3월

    경칩
    경칩 (驚蟄)/양력 3월 5일/개구리가 겨울잠에 깨어남

     

     

     

    춘분
    춘분 (春分)/양력 3월 20일/낮이 길어지기 시작함

     

     

     

    4월

    청명
    청명 (淸明)/양력 4월 4일/봄 농사 준비

     

     

    곡우
    곡우 (穀雨)/양력 4월 20일/농사비가 내림

     

     

     

    5월

    입하
    입하 (立夏)/양력 5월 5일/여름의 시작
    소만

     

     

    소만 (小滿)/양력 5월 21일/농사의 시작

     

     

     

    6월

    망종
    망종 (芒種)/양력 6월 5일/씨뿌리기 시작

     

     

    하지
    하지 (夏至)/양력 6월 21일/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7월

    소서
    소서 (小暑)/양력 7월 7일/여름 더위의 시작

     

     

    대서
    대서 (大暑)/양력 7월 22일/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

     

     

    8월

    입추
    입추 (立秋)/양력 8월 7일/가을의 시작

     

     

    처서
    처서 (處暑)/양력 8월 23일/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커짐

     

     

     

    9월

    백로
    백로 (白露)/양력 9월 7일/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
    추분 (秋分)/양력 9월 22일/밤이 길어지는 시기

     

     

     

    10월

    한로
    한로 (寒露)/양력 10월 8일/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

     

     

    상강
    상강 (霜降)/양력 10월 23일/서리가 내리기 시작

     

     

    11월

    입동
    입동 (立冬)/양력 11월 7일/겨울의 시작

     

     

    소설
    소설 (小雪)/양력 11월 22일/얼음이 얼기 시작

     

     

     

    12월

    대설
    대설 (大雪)/양력 12월 7일/겨울 큰 눈이 옴

     

     

    동지
    동지 (冬至)/양력 12월 21일/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1월

    소한
    소한 (小寒)/양력 1월 6일/겨울 중 가장 추운 때

     

     

    대한
    대한 (大寒)/양력 1월 21일/겨울 큰 추위

     

    절  기

     일 자

    내 용

    주요 세시풍속

    입춘(立春)

    2월 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설빔, 차례, 성묘, 세배, 복조리, 횡수막이, 쥐불놀이, 토정비결 보기,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오곡밥 먹기, 달불이, 안택고사, 부럼 깨물기, 귀밝이술, 더위 팔기, 용알뜨기개보름 쇠기, 달맞이, 줄다리기, 석전, 답교, 볏가릿대 세우기

    우수(雨水)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경칩(驚蟄)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
    잠에서 깨어남

    영등할머니, 볏가릿대 허물기, 머슴날, 콩볶기, 좀생이 보기.

    춘분(春分)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짐

    청명(淸明)

    4월 4일 또는 5일

     봄 농사준비

    한식 묘제, 삼짇날,
    화전놀이, 장담그기.

    곡우(穀雨)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입하(立夏)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초파일, 연등,
    등띄우기, 줄불놀이.

    소만(小滿)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시작

    망종(芒種)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산맥이, 단오, 단오부채, 쑥호랑이, 천중부적, 단오치장, 창포, 그네뛰기, 씨름, 봉숭아물 들이기.

    하지(夏至)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긴 시기

    소서(小暑)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유두천신, 삼복, 천렵. 

    대서(大暑)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입추(立秋)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칠석고사, 백중날, 백중놀이,
    호미씻이, 우란분재, 두레길쌈.

    처서(處暑)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백로(白露)

    9월 7일 또는 8일

    이슬 내리기 시작

    벌초, 추석차례, 거북놀이,
    소멕이놀이, 근친, 강강술래.

    추분(秋分)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짐

    한로(寒露)

    10월 8일 또는 9일

    찬이슬
    내리기 시작

    중양절, 중양제사.

    상강(霜降)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 내리기 시작

    입동(立冬)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 시작

    말날, 시제, 성주고사.

    소설(小雪)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大雪)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 동지고사, 동지차례.

    동지(冬至)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가장 긴 시기

    소한(小寒)

    1월 5일 또는 6일

    가장 추운 때

    납일, 제석, 묵은세배, 나례, 수세.

    대한(大寒)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

    [출처] 24절기 | 두산백과

     

    절  기

     일 자

    내 용

    주요 세시풍속

    입춘(立春)

    2월 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설빔, 차례, 성묘, 세배, 복조리, 횡수막이, 쥐불놀이, 토정비결 보기,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오곡밥 먹기, 달불이, 안택고사, 부럼 깨물기, 귀밝이술, 더위 팔기, 용알뜨기개보름 쇠기, 달맞이, 줄다리기, 석전, 답교, 볏가릿대 세우기

    우수(雨水)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경칩(驚蟄)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
    잠에서 깨어남

    영등할머니, 볏가릿대 허물기, 머슴날, 콩볶기, 좀생이 보기.

    춘분(春分)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짐

    청명(淸明)

    4월 4일 또는 5일

     봄 농사준비

    한식 묘제, 삼짇날,
    화전놀이, 장담그기.

    곡우(穀雨)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입하(立夏)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초파일, 연등,
    등띄우기, 줄불놀이.

    소만(小滿)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시작

    망종(芒種)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산맥이, 단오, 단오부채, 쑥호랑이, 천중부적, 단오치장, 창포, 그네뛰기, 씨름, 봉숭아물 들이기.

    하지(夏至)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긴 시기

    소서(小暑)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유두천신, 삼복, 천렵. 

    대서(大暑)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입추(立秋)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칠석고사, 백중날, 백중놀이,
    호미씻이, 우란분재, 두레길쌈.

    처서(處暑)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백로(白露)

    9월 7일 또는 8일

    이슬 내리기 시작

    벌초, 추석차례, 거북놀이,
    소멕이놀이, 근친, 강강술래.

    추분(秋分)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짐

    한로(寒露)

    10월 8일 또는 9일

    찬이슬
    내리기 시작

    중양절, 중양제사.

    상강(霜降)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 내리기 시작

    입동(立冬)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 시작

    말날, 시제, 성주고사.

    소설(小雪)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大雪)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 동지고사, 동지차례.

    동지(冬至)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가장 긴 시기

    소한(小寒)

    1월 5일 또는 6일

    가장 추운 때

    납일, 제석, 묵은세배, 나례, 수세.

    대한(大寒)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출처] 24절기 | 두산백과

    절  기

     일 자

    내 용

    주요 세시풍속

    입춘(立春)

    2월 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설빔, 차례, 성묘, 세배, 복조리, 횡수막이, 쥐불놀이, 토정비결 보기,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오곡밥 먹기, 달불이, 안택고사, 부럼 깨물기, 귀밝이술, 더위 팔기, 용알뜨기개보름 쇠기, 달맞이, 줄다리기, 석전, 답교, 볏가릿대 세우기

    우수(雨水)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경칩(驚蟄)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
    잠에서 깨어남

    영등할머니, 볏가릿대 허물기, 머슴날, 콩볶기, 좀생이 보기.

    춘분(春分)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짐

    청명(淸明)

    4월 4일 또는 5일

     봄 농사준비

    한식 묘제, 삼짇날,
    화전놀이, 장담그기.

    곡우(穀雨)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입하(立夏)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초파일, 연등,
    등띄우기, 줄불놀이.

    소만(小滿)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시작

    망종(芒種)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산맥이, 단오, 단오부채, 쑥호랑이, 천중부적, 단오치장, 창포, 그네뛰기, 씨름, 봉숭아물 들이기.

    하지(夏至)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긴 시기

    소서(小暑)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유두천신, 삼복, 천렵. 

    대서(大暑)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입추(立秋)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칠석고사, 백중날, 백중놀이,
    호미씻이, 우란분재, 두레길쌈.

    처서(處暑)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백로(白露)

    9월 7일 또는 8일

    이슬 내리기 시작

    벌초, 추석차례, 거북놀이,
    소멕이놀이, 근친, 강강술래.

    추분(秋分)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짐

    한로(寒露)

    10월 8일 또는 9일

    찬이슬
    내리기 시작

    중양절, 중양제사.

    상강(霜降)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 내리기 시작

    입동(立冬)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 시작

    말날, 시제, 성주고사.

    소설(小雪)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大雪)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 동지고사, 동지차례.

    동지(冬至)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가장 긴 시기

    소한(小寒)

    1월 5일 또는 6일

    가장 추운 때

    납일, 제석, 묵은세배, 나례, 수세.

    대한(大寒)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출처] 24절기 | 두산백과

    출처 : GROUP THE BLUE(청색회)
    글쓴이 : MAX황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