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벌 관련 이전 자료 모음/토종벌 관리

2014년도 토종벌 육종에 필요한 소요자재및 비용

금송(천안) 2014. 2. 9. 11:30

예산을 편성하다 보면 생각지도 못한 항목이 나타나고,,,

항목대로 하더라고, 추후에 다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면 다시 추가해야 하고,,,,

 

예전에 직장생활시,

고정비(투자비)가 들어가면 그만일 것이라는 것보다  초기 투자비는 예산을 20~30% 정도 더 추가해야 한다는 사실과

그 이후에도 감가상각 또는 수선비가 들어간다는,,,

벌통이 몇통 되지 않거나, 자재비가 얼마 안될때는 거의 무시해도 되지만

지금은 자재비도 만만치 않다.

 

그래서 일단 올해 토종벌과련 필요한 자재비와 농사에 대한 비용을, 예상했던 부분을 기록하고, 추가되면 다시 메모해 보려고 한다.

 

 

1. 토종벌 관련 (1차)

    개량벌통 구입비                        :          450만원

    소초광                                     :          450만원

    화분떡                                     :            44만원

    설탕                                        :            75만원

    사양기                                     :            75만원

    개포, 소문조절기 격리판 등         :            73만원(개포 6만원, 소문조절기 22만원 격리판 45만원)

    벌통 뚜껑(압축스치로폼)            :             45만원( 9천원 / 3 *150개) (고정비 2년)

    블럭                                       :             37만오천원( 5인치 블럭 300개 + 5인치의1/2 150개(고정비 10년)

    면역증강제                              :             30만원

    효소제                                    :            100만원

    기타 잡비                                :              10만원

                                                 소계     1,350 만원 

                                                 소계      * 20 % + 1,620만원

           외에 밀원식물(피나무 36만원, 기타 종자 구입비 10만원, 기타  00원) 50만원

     2차 3차 필요시까지 계산하면 * 2.5배 필요(월동 포장비나 월동사양까지 필요)

 

2. 기타 농사에 필요한 비용

    퇴비                                       : 50만원

    묘목 구입비 (매실외)                 : 30만원

    트랙터 (로터래ㅣ 두둑)              : 50만원

    비료                                       :15만원

    멀칭비닐                                 : 10만원

    소독제 영양제 등                      : 20만원

    * 다행히 농사용 종자 일부는 전년도 구해 놓은게 있어서 종자비는 추가 없이 가능 (종자비 :  약 30만원)

       이 외에도 논농사 묘판, 작년에 30만원 정도 소요 

 

 

 

                                              총계 1차 송소요금액은 1,790만원

                                     이 금액 대부분이 자본이 아니고 소모성이다.

 

상가를 임대하거나 권리금을 지불하거나와 다른 (물론 임대료는 돌려받을수 있고 권리금은 못받을 수도 있지만, 

영업권리금은 어려울수도 있지만 그래도 시설권리금은 받을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비와는 다른 것 같다.

 

직장생활할때와 비교하면, 몸뚱이로 벌으니, 위 자재비가 필요없고, 복리후생비등 직접 지출이 없으나,

지금은 모든 비용(전화료, 식대비, 접대비) 등이 소요되고, 농사(벌농사 포함) 가 안되면 투자비가 마이너스다.

 

타지역과 달리 토종벌 벌통관련 지원사업이 빈약하다보니 다른 지역보다 훨씬 많이 들어간다.

며칠전에 **기관과 통화하다보니, 정말 한숨만 나온다,

예를  들어, 다른 지자체 따라가다보니 예산만 편성해 놓고 용어조차도 모른다.

다른 지역에서 하란다. 토종벌이 우리지역 일부만 일부만 살아남았느데도,,,,,,,,(일부 강원도와)

찾아서 해주기는 커녕,, 좋은 기회를 만들어 주어도,,, 활용치 못하고 있으니,,

작년에도 국가 지원금도 못찾아먹고,,, 쉬쉬하고

 

지금은 인터넷이 발전되어 있고 토종벌 관련해서는 모든 전국 정보가 들어오니 비교가 많이 되고

그럼으로 안타까운 마음이 많이 든다.

 

글을 쓰디보니, 괜히 답답한 마음을 전한 것 같아 마음이 무겁다.